[AI+로봇] 글로벌 로봇산업 동향 및 미국 대표 로봇 ETF(ROBO, BOTZ) 비교

2025. 1. 24. 00:09IT정보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5년도 핵심 키워드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로봇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최근 미국 대통령인 트럼프를 킹메이크한 일론 머스크는 `25년도에 휴머노이드 로봇인 옵티머스를 공장에 배치하고, `26년에는 B2C로 판매를 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에서도 삼성전자가 최근 레인보우 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시키는 등 글로벌 로봇 시장에서 선두주자를 차지하고자 치열한 경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CES에서도 주요 기업들이 로봇을 선보이며 `25년도는 로봇의 해가 될 것임을 발표하였는데 글로벌 로봇 시장 동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로벌 로봇 시장 동향

위 표를 보시면 2026년까지 연평균 시장 성장률은 17.4%에 달하며, 2026년 로봇산업의 시장규모는 740억 달러(약 1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참고로 서비스용 로봇에 대한 성장이 급속도로 커지는데 서비스용 로봇과 산업용 로봇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서비스용 로봇 : 의료, 물류, 가사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활용되는 로봇

 *산업용 로봇 : 자동차, 전자 제품 등 제조업 분야에서 생산성 향상과 인건비 절감을 위해 도입되는 로봇

 

 

추가로, 위 표는 `23년 초에 나온 표인데 최근에는 로봇과 AI가 융합함에 따라 더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훈련받은 로봇으로 인해 수요가 가파르게 커지고 있습니다.

 

로봇산업은 인구가 고령화되고, 인건비가 높아짐에 따라 앞으로도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며, 단순 작업뿐만 아니라 초거대 AI와 융합되어 스스로 창의적인 생각까지 하는 로봇도 가능해짐에 따라 `26년의 100조 원 규모 시장도 시장 초입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미국 대표 로봇 ETF 비교(BOTZ, ROBO)

그렇다면 우리는 이런 로봇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투자 포인트를 잡아야 하는데 아래 2가지 ETF가 대표적으로 활용되어 소개드립니다. *해당 상품에 대한 투자권유가 절대 아닙니다.

물론, 단일 종목으로 투자를 하실 때 기대 수익이 훨씬 높을 수는 있지만, 주도주를 발굴하기 어려운 상황이기에 ETF에도 많은 자금이 몰리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미국 로봇 ETF로는 ROBO와 BOTZ가 있는데 각 ETF에 대한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ETF명 BOTZ
(Global X Robotics & AI ETF)
ROBO
(ROBO Global Robotics and Automation Index ETF)
투자 목표 1.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 사업을 통해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
2. 무인 자동차 및 드론 등
1. 로봇 및 자동화 기술 관련 기업에 투자
지수 구성 자체 개발 지수 추종 ROBO Global Robotics and Automation Index 추종
포트폴리오 구성 AI 관련 기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로봇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업에 집중
섹터 분포 기술 섹터 비중이 높음 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 자동화 솔루션 등 다양한 섹터 분포
상위 종목 엔비디아, 키엔스, ABB 등 테슬라, 키엔스, ABB 등
수수료 0.68% 0.95%
비고 매년 6월 리밸런싱을 통한 포트폴리오 조정 분기별 리밸런싱을 통한 포트폴리오 조정

 

 

위와 같이 보면 BOTZ는 서비스용 로봇을 타겟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해 보이고, ROBO는 산업용 로봇을 타겟으로 하려는 투자자에게 적합해보입니다.

개별종목에 관심이 있으신 투자자분들은 저 2개의 ETF에 속한 기업들을 확인해 보시고 성장 잠재력이 높아 보이는 기업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국내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사에서 상장한 TIGER 글로벌 AI&로보틱스 INDXX ETF가 BOTZ를 추종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BOTZ ETF도 자세히 보시면 Global X인데 이것도 미래에셋에서 개발한 ETF로 보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로봇산업 동향과 미국 대표 로봇 ETF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오늘도 똑구의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