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19. 01:02ㆍIT정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전담기관으로 운영하는 SW고성장클럽 사업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24년 SW고성장클럽 사업 안내글도 인기가 많았는데 `25년도 SW고성장클럽 사업 지원기업 모집공고가 나이파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또다시 포스팅을 합니다.
SW고성장클럽 사업은 대한민국의 우수한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기업들을 육성시키고 글로벌로 진출시켜 최종적으로는 고성장의 결과물인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시키려는 사업입니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답게 수출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사업으로, 수출 실적과 수출성장률이 높은 기업들한테는 지원기업 선발평가 때 가산점도 두둑이 준다고 하니 미리미리 수출실적은 챙겨 두시는 게 좋을 것 같네요!
*선발평가 때 수출관련 가점항목은 2개, 총 4점이 배정되어 있음
SW고성장클럽은 예비고성장과 고성장 트랙으로 구분이 되며 각 트랙은 1년 차와 2년 차로 구성이 됩니다.
즉, 고성장클럽은 총 4개의 트랙(고성장 1, 2년 차, 예비고성장 1, 2년 차)으로 운영이 됩니다.
또한, 각 트랙을 관리하는 운영기관을 두고 해당 운영기관들은 매년 공모를 통해 새로 모집을 합니다.
`25년에는 현재 2개의 운영기관이 있고 한 개 기관은 공모를 접수받고 있습니다.
트랙 | 25년도 담당기관 |
고성장 1년차 |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 |
고성장 2년차 | 한국생산성본부(KPC) |
예비고성장 1년차, 2년차 | 신규 운영기관 공모중 |
신규 기업 모집 관련해서는 공고문에 KOSA의 연락처가 있는 것 보니 예비고성장 1년 차도 선정평가는 KOSA에서 개최하는 것 같습니다.
ㅁ지원내용
ㅇ지원금 지원
`24년까지는 고성장 기업은 2억 5천만 원의 정부지원금을 지급하였고, 예비고성장 기업은 8500만 원의 정부지원금을 지급하였습니다. 기업이 1년간 운영하는 펀드의 85%까지 정부지원금으로 지원했는데 `25년부터는 민간부담금의 비율이 높아졌네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구분 | ~`24년까지 | `25년 | 비고 |
정부지원금 | 고성장 : 2억 5천만원 예비고성장 : 85백만원 |
고성장 : 2억 2천 5백만원 예비고성장 : 75백만원 |
정부지원금 감소 *고성장 : 25백만원 *예비고성장 : 천만원 |
민간부담금 | 고성장 : 5천만원 예비고성장 : 15백만원 |
고성장 : 75백만원 예비고성장 : 25백만원 |
민간부담금 증가 *고성장 : 25백만원 *예비고성장 : 천만원 |
합계 | 고성장 : 3억원 예비고성장 : 1억원 |
고성장 : 3억원 예비고성장 : 1억원 |
전체 합계는 동일함 |
전체적으로 보면 기업의 부담이 일부 높아지는 방향으로 `25년도는 사업 방향이 정해진 것 같습니다. 물론 지원금을 받는 상황에 선발만 되면 좋긴 하지만, 지원금 규모가 줄어들어 조금 아쉽긴 하네요.
하지만, 공고문을 자세히 확인해 보니 그동안에는 못 봤던 현물 부분이 새로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마, 민간부담금의 비중이 높아지는 만큼 기업의 부담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하여 민간부담금 항목을 신설한 것 같네요.
ㅇ지원 프로그램
고성장 사업에 참여하려는 이유는 아마 기업운영을 위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지원금도 있겠지만, 지원 프로그램도 좋은 게 많기 때문입니다. `24년도 지원프로그램들을 보면 아래와 같이 진행했었네요.
추진기관 | 프로그램 | 주요내용 | 추진시기 |
KOSA | 글로벌 IR 및 세미나 |
일본 투자사간 IR기회 제공 및 글로벌 투자 동향 세미나 제공 | `24년 6월 |
초거대AI 네트워킹 |
초거대 AI 기업(LLM, sLLM, AI 소프트웨어 기업)과의 네트워킹 제공 | `24년 8월 | |
Go SaaS Day | 글로벌 및 국내 CSP간 네트워킹 제공 | `24년 11월 | |
우수기업 소개 | 성과가 우수한 기업을 선발하여 기업 소개영상 촬영 지원 | `24년 12월 | |
KPC | 네트워킹 프로그램 |
약 10회에 걸친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제공 (*현지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기업과의 미팅, IR 제공) |
`24년 5월 ~ 12월 |
고성장 멘토링 | 기업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전문가단을 운영하여 멘토링 지원 | ||
NIPA | 글로벌 성장인센티브 |
두바이, 남미, 북미,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등 글로벌 진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국내 기업의 글로벌 교두보 마련 지원 | `24년 5월 ~ 12월 |
선정된 기업은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잘 확인하여 참석하기만 해도 새로운 기업들을 만날 수 있는데 프로그램만 봐도 정말 유니콘 기업이 되기에 필요한 지원사항들로 구성이 잘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ㅁ신청자격
그러면 어떤 기업들이 지원을 하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국내 SW기업이라면 모두 지원이 가능합니다. SW를 안 쓰는 기업은 없으니 대부분 다 지원이 가능하다고 보면 되겠네요.
세부 지원자격은 아래 표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지원대상 | 지원자격 | 선정기업 수 |
예비고성장 | 창업 3~7년 미만 기업 *공고년도 기준, 2018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에 설립한 기업 |
21개사 |
고성장 | 최근 3년간 종사자 10인 이상(대표제외)이고 연평균 매출 증가율 또는 고용성장률이 20%이상(CAGR값) 기업 | 16개사 |
ㅁ모집기간 및 접수방법
모집기간은 `25년 1월 17일(금)부터 2월 17일(월), 15:00까지입니다.
접수는 https://swgo.kr/sub/receipt/receipt_main 여기서 신청하려는 유형을 클릭하고 제출서류들을 취합 후 접수하시면 됩니다.
갈수록 어려워지는 경기로 인해 유니콘 기업 등장이 적어지는데 유망한 모든 SW기업들이 SW고성장클럽 사업에 참여하셔서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SW고성장클럽 사업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오늘도 똑구의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로봇] 글로벌 로봇산업 동향 및 미국 대표 로봇 ETF(ROBO, BOTZ) 비교 (0) | 2025.01.24 |
---|---|
[해외기술규제] 2023 EU AI Act 주요내용(2023년 6월 24일 발의(안) 발표) (0) | 2023.08.09 |
[해외기술규제] EU AI Act 발의 배경(2023년 6월 24일 발의(안) 발표) (0) | 2023.08.09 |
[스타트업 육성] 2023 SW고성장클럽 사업 소개 (0) | 2023.08.09 |
[클라우드]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해주는 CSP(Cloud Service Provider) 기업별 특징 (0) | 2023.08.08 |